담낭, 담관 질환
1. GB stone (담낭결석)
- 증상이 없을 경우 경과관찰 가능
- CBD stone 과 동반될 경우 cholecystectomy 고려
- Cholecystitis 와 동반될 경우 수술적 치료 고려
2. Acute cholecystitis (급성담낭염)
- 기본적인 치료방법은 수술 lapa. cholecystectomy
- 수술이 어려울 경우 PTGBD(경피경관담낭배액술) PTGBD
2-1. PTGBD 시술
PTGBD 넣는 이유
GB distension이 있는 경우 cholecystectomy를 시행하지 않으면, GB perforation으로 응급상황 발생할 수 있음.
그래서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GB의 압력을 낮춰주어야 하는데 수술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PTGBD를 삽입하여 담낭 내 담즙을 배액해주고 담낭을 decompression 시켜주는 것이 목적임.
PTGBD 를 바로 빼지 않는 이유
PTGBD는 최소 2주일 이상 유지 필요함. 만약 배액관을 일찍 제거할 경우, 배액관을 넣은 구멍으로 담낭액이 복강 내로 계속 새게 되고 인위적으로 GB perforation을 시킨 것과 다름없이 소화액인 담낭액이 복강 내에 새어나가 심한 복강염증 유발할 수 있음. 그래서 담낭염이 호전되어 배액관 제거가 필요하더라도 담낭액이 복강 내가 아닌 체외로 나올 수 있도록 충분한 트랙이 만들어지기 위한 기간으로 2주 이상 유지하도록 한다.
만약 수술할 경우 수술하면서 배액관은 제거함.
2-2. chronic cholecystitis (만성 담낭염)
만성 담낭염의 경우 증상 없을 경우 경과관찰, 심하지 않을 경우 항생제 치료 후 호전될 수 있음.
PTGBD tubogram / tubography 시행하는 이유, cholecystectomy 시행이 어려운 경우, mirizzi syndrome(미리찌증후군), acalculous cholecystitis, Murphy sign 등 더 심화된 내용을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해주세요
https://nurse-narr.tistory.com/3
3. CBD stricture (담관협착)
- 협착의 경우 cancer 감별이 반드시 필요함
- cancer marker : Ca19-9 담낭암, 담관암, 췌장암 등
- ERCP 하 biopsy 시행, 필요 시 ERBD insertion
4. CBD stone (담관결석)
담석이 완전히 총담관을 막을 경우 LFT 상승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음.
- ERCP 하 stone removal
- 시술 후 당일 금식, 명치 통증 발생할 수 있음
- 합병증으로 췌장염 발생가능성 있음 (익일 amylase, lipase 확인 + 복통확인)
- 합병증으로 담관염 발생가능성 있음 (WBC, CRP 확인)
- 시술 후 LFT ; AST(OT), ALT(PT), Alk.P, Total bilirubin) 호전 여부 확인
- 특별한 합병증 없고 증상 및 LFT 호전 시 시술 다음 날 퇴원도 가능함.
5. Cholangitis (담관염)
- 필요 시 ERCP 하 ERBD 삽입하여 담즙배액을 도와줌
- 항생제 치료가 기본 (triple anti : cefa + metronidazole + cycin)
- WBC, CRP, fever 여부 확인
담낭, 담도 질환 시술 종류
1. ERCP (역행성 췌담도 내시경)
- 담관과 췌관을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
- 십이지장의 AoV(ampulla of vater)를 찾아 카테터를 삽입하여 조영제를 쏘면서 X-ray를 확인해서 stone, stricture, obstruction을 확인함. (담관결석, 담관협착, 담관폐쇄)
- 필요 시 담도 조직검사, 담관스텐트(ERBD) 삽입, 췌관스텐트(ERPD) 삽입, 경비담즙배액법(ENBD)삽입
- 시술 후 cholangitis, pancreatitis 합병증 발생 가능성 있어 복통, WBC, CRP, LFT 호전여부 확인이 필요함
ERCP 시술 종류 (ERBD, ERPD, ENBD, EPBD, EST)에 대한 자세한 내용 및 배액관 위치
ENBD를 넣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분은 아래 그림을 클릭해서 들어오세요.
2. EUS (초음파내시경)
ERCP가 침습적이고 합병증이 있는 검사이기 때문에, 정확히 담도나 췌장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경우 EUS를 먼저 보고 반드시 필요한 경우 ERCP를 시행함.
담낭이나 담도, 췌장의 모양을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할 경우 EUS를 통해 확인함.
췌장조직검사가 필요할 경우 EUS FNA (초음파내시경 하 미세침 흡입검사)를 시행하기도 함.
즉, 초음파내시경을 통해 췌장의 모양을 확인하고 조직검사가 필요한 부분에 미세침을 통해 조직검사를 시행함.
3. PTBD (경피경관담도배액술)
하지만 AoV(ampulla of vater)의 기형이나, 위절제술 과거력 등 ERCP 를 통한 담관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는 PTBD 삽입이 불가피하다. PTBD 는 말 그대로 담관에 관을 넣어 담즙을 배액하는 시술로, 담낭에 관을 넣는 PTGBD와는 구분된다.
즉, PTGBD와 PTBD 차이점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담낭 자체에 관을 뚫어 담즙을 배액시키는 것은 PTGBD, 담관에 관을 넣어 담즙을 배액시키는 것은 PTBD이다.
PTBD 또한 PTGBD 와 마찬가지로 일찍 제거하게 될 경우, 담즙이 복강내로 샐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최소한 1주일 ~ 2주일은 배액관 유지 후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
9. PTCS (경피경간담도경검사, 경피적담석제거)
PTBD는 담즙을 바깥으로 빼내는 역할밖에 하지 못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담관 내에 스텐트를 삽입해야 하거나(암으로 인한 협착이 있는 경우), 담관결석의 제거가 필요할 경우 PTCS 를 시행한다.
PTCS 시행 전 PTBD를 넣고 1주일정도 길을 만든 뒤, 1주일 뒤 PTBD TD 즉 PTBD track dilatation을 시행하여 내시경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넓은 관으로 교체한다. 그리고 또 1주일 동안 길을 만든 뒤, 이 길을 통해 내시경이 들어가서 스텐트를 삽입하거나 담관 결석을 제거하게 된다.
ERCP를 시행하면 최소 2일이면 끝날 치료를 PTCS를 시행할 수 밖에 없는 경우에는 최소 2주일이 걸리는 것이다. PTCS 후 stent 가 충분히 펴진 것이 확인되거나, 담관결석 제거 후 간수치가 호전되는 것이 확인되면 PTBD를 제거하고 퇴원이 가능하다.
그림자료는 대한췌담도학회 자료에서 발췌하여 추가로 시술설명을 위해 그림을 덧붙였으며
PTBD 그림자료는 https://somanysicks.tistory.com/27 에서 발췌했습니다.